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springcloud

(4)
[spring boot 설정하기-24] spring cloud Resilience4j(1) 설정 및 테스트 소스 1. 개요 https://resilience4j.readme.io/docs/getting-started Hystrix에서 영감을 얻어 만든 라이브러리로 Resilience4j입니다. 가볍고 다른 라이브러리에 의존성이 없고 Circuit Breaker, Rate Limier, Time Limiter, Bulkhead, Retry, Cache 구현체가 있습니다. 2. 설정 설명 아래 사이트를 참고합니다. https://resilience4j.readme.io/docs/circuitbreaker 1. CircuitBreaker Config 요청 실패율이 특정 값 이상일 경우 서킷의 상태를 open/close 여부를 결정하여 에러에 대한 대응을 할 수 있습니다. Config propertyDefault Valu..
[spring boot 설정하기-23] spring cloud loadbalancer 설정 및 테스트 소스 1. 개요 많은 트래픽을 분산해서 처리하기 위해서는 서버를 여러대를 두고 처리량을 나누서 부하를 낮추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OSI 7 계층에서 보면 L4, L7 계층에서 Switch라는 비싼 하드웨어 장비를 두고 사용하는 방식으로 서버사이드 로드밸런싱을 합니다. 서버사이드는 서버를 증설하면 되기때문에 간단히 조치할 수 있지만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1. Switch가 처리할 수 있는 요청수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2. Switch를 증설, 셋팅 설정이 어렵습니다. 3. 하드웨어 비용이 비쌉니다. 4. Switch가 문제가 생길걸 대비해 이중화 해야합니다. 5. 수동으로 등록해주고 사람이 상황에 따라 조치해야 해서 유연성이 떨어집니다. 서버사이드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나온 방식으로 클라이언트사..
[spring boot 설정하기-18] spring cloud eureka(2) 설정 및 테스트 소스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이론에 관한 정리를 했고 이번 포스팅에는 구현에 관해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1. Eureka Server 패키지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1-1. 의존성 추가 이전에 작성한 cloud config와 연동하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의존성을 넣었습니다. dependencies { // cloud config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amqp'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cloud:spring-cloud-bus'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security:spring-security-rsa' implementation 'org.sp..
[spring boot 설정하기-17] spring cloud eureka(1) 설정 및 테스트 소스 동적으로 변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클라이언트가 여러개의 서비스 인터스턴스 중에서 원하는 인스턴스를 호출할 수 있도록 IP / Port / Instance ID를 보유하는 REST 기반 미들웨어 서버로 Service Registry입니다. 개요 AWS ELB(Elastic load Balancer)가 서버 사이드 디스커버리 패턴의 좋은 예입니다. 용어 Service Registration : 서비스가 자신의 정보를 Eureka 서버에 등록 Service Registry : 등록된 서비스들의 정보 목록 Service Discovery : 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려는 대상을 Service Registry를 통해 발견 구성 https://github.com/Netflix/eureka/wiki/Understand..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