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5) 썸네일형 리스트형 [Centos] CPU 사용량 확인 하는 방법 서버를 관리하다보면 CPU의 남은 용량을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방법 : top top -b -n1 | grep -Po '[0-9.]+ id' | awk '{print 100-$1}' 방법 : mpstat 설치 - 데비안 계열 (우분투 등) : apt-get install sysstat - 레드햇 계열 (페도라, CentOS 등) : yum install sysstat 사용 mpstat [ -A ] [ -u ] [ -V ] [ I { SUM | CPU | SCPU | ALL } ] [ -P { cpu [,...] | ON | ALL ] [ interval [ count ] ] 사용 예시 # mpstat : 1회에 한하여 CPU 사용률 (전체 코어 한번에) # mpstat -P ALL : 1회에 .. [CentOs-Python] centos에서 네트워크 속도 확인하는 방법(+Speedtest-cli) Centos에서 CLI로 네트워크 속도를 측정하는 방법입니다. Centos8 기준으로 작업하다 보니 pip3를 이용해서 진행해야 합니다. yum update yum upgrade yum install -y epel-release sudo dnf install python3-paramiko yum install -y python3 yum install -y python3-pip pip3 install speedtest-cli > speedtest-cli 실행하면 아래처럼 다운로드와 업로드 속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Rocket.Chat] Centos에서 로켓챗을 개인 서버에 구성하는 방법 개요 Rocket.Chat은 무료 오픈 소스이고 자체 호스팅 채팅 응용 프로그램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호스팅 버전은 docker를 지원해서 쉽게 설치 할 수 있습니다. aws에서 설치하려고 했으나 컨테이너가 계속 내려가서 갱니 서버에 구성했습니다. Server는 호스팅으로 자체 구성하고 Client는 제공해주는 앱으로 이용하거나 서버 URL 정보로 접속할 수 있어서 접근성이 좋습니다. 모바일로 앱을 사용하려면 서버에 ssl 인증서가 적용되어야 사용가능한걸로 보입니다. 특징 슬랙과 유사 파일 공유 티켓팅 시스템 비디오 채팅과 회의 구성 방법 1. Centos 설정 # root user로 전환 sudo su # yum-utils 설치 yum install -y yum-utils # 도커 repositor.. [Docker] centos에서 docker 설치하기 한정된 자원에서 컨테이너 기반으로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docker를 사용합니다. centos에서 docker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공식 홈페이지 CentOS 7.0 Docker 1. 도커 설치 시 삭제 sudo yum remove docker \ docker-client \ docker-client-latest \ docker-common \ docker-latest \ docker-latest-logrotate \ docker-logrotate \ docker-selinux \ docker-engine-selinux \ docker-engine 2. 최신 버전을 받기 위한 설치 sudo yum update sudo yum install yum-utils device-mapper-persiste.. [centos] window에서 centos8 원격 접속하는 방법(+xrdp, tigervnc) window에서 window는 원격 데스크톱으로 접속하는데 window에서 linux로 접속해야 하면 더 편리하다고 생각되어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원격 접속하는 방법은 다양한데 가장 버그가 적고 쉽게할 수 있는? 단번에 성공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1. centos 업데이트 $ yum update $ yum upgrade 2. epel 설치 $ yum install -y epel-release 3. xrdp 및 tigervnc 설치 $ yum install -y xrdp tigervnc-server 4. 방화벽 설정 및 재실행 $ firewall-cmd --permanent --zone=public --add-port=3389/tcp $ firewall-cmd --reload $ firewall-cmd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