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기 (1) 썸네일형 리스트형 [CS] 동기와 비동기 그리고 블럭킹과 넌블럭킹 개요 크게 시스템을 나누면 요청자와 제공자로 나눌 수 있습니다. 요청을 할 때와 제공을 할 때 어떤 방식으로 되어 있는지에 대해서 논의해야 하는 경우에 동기와 비동기, 블럭킹과 넌블럭킹을 다루어야 합니다. 아래 네 가지 형태로 구성될 수 있습니다. 동기 + 블럭킹 동기 + 넌블럭킹 비동기 + 블럭킹 비동기 + 넌블럭킹 위에 내용처럼 동기 != 블럭킹, 비동기 != 넌블럭킹이 아니라는걸 알 수 있습니다. REST API는 동기 방식이고 넌블럭킹방식으로 통신으로 하며, frontend와 backend는 대부분 동기 + 넌블럭킹 방식으로 구현합니다. 동기 : Synchronous 그럼처럼 두명이 손을 잡고 있는것처럼 동시에 어떤 일을 하는걸 의미 요청자와 제공자 사이에 지속적으로 Connection을 가지고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