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문제(출처)
N개의 수가 주어졌을 때, 이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숫자가 주어진다.
이 수는 절댓값이 1,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정수이다. 수는 중복되지 않는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
예제 입력
5
5
4
3
2
1
예제 출력
1
2
3
4
5
내 풀이
import java.io.BufferedReader;import java.io.IOException;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BOJ_2751 { private int[] data; private int[] temp; private int count;
public void mergeSort(int[] arr) { this.data = arr; this.temp = new int[arr.length];
mergeSort(0, arr.length - 1); // 인덱스 초기화
}
private void mergeSort(int start, int end) { if (end > start) { // 끝 인덱스가 클 경우에만 실행 int mid = (start + end) / 2; // 중간 인덱스를 구함 this.count++; // 몇 번 호출 되는지 체크 mergeSort(start, mid); // 시작부터 중간인덱스 까지 나누는 재귀함수 mergeSort(mid + 1, end); // 중간다음 인덱스부터 끝 인덱스까지 나누는 재귀함수
merge(start, mid, end); // 정렬 후 결합하는 함수
} }
private void merge(int start, int mid, int end) {
for (int i = start; i <= end; i++) { // 임시 배열로 정렬 및 결합해야 하는 데이터 저장 this.temp[i] = this.data[i]; }
int part1 = start; // 쪼개진 배열의 시작 인덱스를 저장, 해당 인덱스를 통해 비교 연산 int part2 = mid + 1; // 쪼개진 배열의 중간 다음 인덱스를 저장, 해당 인덱스를 통해 비교 연산 // 쪼개진 배열의 위치를 저장 int index = start; // 크기 만큼 연산 되었는지 확인하는 변수
while (part1 <= mid && part2 <= end) { // 시작은 중간까지, 중간 다음부터 끝까지 크기가 작다면 if (this.temp[part1] > this.temp[part2]) { // 쪼갠 배열을 비교 작은 값을 저장 하고 저장 한 part를 증분하여 어떤 데이터가 들어갔는지 체크 this.data[index] = this.temp[part2]; part2++; } else { this.data[index] = this.temp[part1]; part1++; } index++; }
for (int i = 0; i <= (mid - part1); i++) { // part1 시작 부분에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추가하고 part2 뒤쪽 부분의 남아 있는 데이터는 이미 정렬 되어 있음 this.data[index + i] = this.temp[part1 + 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J_2751 b = new BOJ_2751();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um; try {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um]; for (int i = 0; i < num; i++) { arr[i] = Integer.parseInt(br.readLine()); } b.mergeSort(arr); for (int i : b.data) { System.out.print(i + " "); } } catch (NumberFormatException |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BOJ_2751 {
private int[] data;
private int[] temp;
private int count;
public void mergeSort(int[] arr) {
this.data = arr;
this.temp = new int[arr.length];
mergeSort(0, arr.length - 1); // 인덱스 초기화
}
private void mergeSort(int start, int end) {
if (end > start) { // 끝 인덱스가 클 경우에만 실행
int mid = (start + end) / 2; // 중간 인덱스를 구함
this.count++; // 몇 번 호출 되는지 체크
mergeSort(start, mid); // 시작부터 중간인덱스 까지 나누는 재귀함수
mergeSort(mid + 1, end); // 중간다음 인덱스부터 끝 인덱스까지 나누는 재귀함수
merge(start, mid, end); // 정렬 후 결합하는 함수
}
}
private void merge(int start, int mid, int end) {
for (int i = start; i <= end; i++) { // 임시 배열로 정렬 및 결합해야 하는 데이터 저장
this.temp[i] = this.data[i];
}
int part1 = start; // 쪼개진 배열의 시작 인덱스를 저장, 해당 인덱스를 통해 비교 연산
int part2 = mid + 1; // 쪼개진 배열의 중간 다음 인덱스를 저장, 해당 인덱스를 통해 비교 연산
// 쪼개진 배열의 위치를 저장
int index = start; // 크기 만큼 연산 되었는지 확인하는 변수
while (part1 <= mid && part2 <= end) { // 시작은 중간까지, 중간 다음부터 끝까지 크기가 작다면
if (this.temp[part1] > this.temp[part2]) {
// 쪼갠 배열을 비교 작은 값을 저장 하고 저장 한 part를 증분하여 어떤 데이터가 들어갔는지 체크
this.data[index] = this.temp[part2];
part2++;
} else {
this.data[index] = this.temp[part1];
part1++;
}
index++;
}
for (int i = 0; i <= (mid - part1); i++) {
// part1 시작 부분에 데이터가 남아 있으면 추가하고 part2 뒤쪽 부분의 남아 있는 데이터는 이미 정렬 되어 있음
this.data[index + i] = this.temp[part1 + i];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BOJ_2751 b = new BOJ_2751();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num;
try {
num = Integer.parseInt(br.readLine());
int[] arr = new int[num];
for (int i = 0; i < num; i++) {
arr[i] = Integer.parseInt(br.readLine());
}
b.mergeSort(arr);
for (int i : b.data) {
System.out.print(i + " ");
}
} catch (NumberFormatException | IOException e) {
e.printStackTrace();
}
}
}
내 풀이 해석
퀵 정렬을 기반으로 한 알고리즘으로 나누어 쪼갠 후 정렬 하고 합치는 과정을 구현합니다.
아쉬운 점
이 문제를 풀기 위해서 알고리즘 책을 다시 공부했습니다.
학습/검색
1. 뇌를 자극 하는 알고리즘
반응형
'개발(합니다) > 알고리즘&코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단계별로 풀어보기 : BOJ-2108(통계학) (0) | 2019.01.16 |
---|---|
알고리즘 단계별로 풀어보기 : BOJ-10989(수정렬하기[3]) (0) | 2019.01.15 |
알고리즘 단계별로 풀어보기 : BOJ-2750(수정렬하기) (0) | 2018.12.26 |
알고리즘 단계별로 풀어보기 : BOJ-6064(카잉달력) (0) | 2018.12.26 |
알고리즘 단계별로 풀어보기 : BOJ-1475(방번호) (0) | 2018.12.24 |